목록Unix_Linux/기타 (11)
幸福伝説
http://wiki.kldp.org/wiki.php/DocbookSgml/SSH-KLDP KLDP : SSH Howto
1. Proftp 소개 1. Proftp 소개 Proftpd는 파일전송 프로토콜인 FTP의 일종으로서 보안적이고 신뢰적인 FTP서버가 되기를 희망하며 발전을 하며 Apache 설정파일과 같은 설정 방식을 따른다. Proftpd는 다음 기능을 제공한다. ☞ Apache 웹 서버를 사용해 본 관리자라면 누구나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지시자와 지시그룹으로 된 단 하나의 설정 화일. ☞ Apache의 ".htaccess"와 비슷한 각 디렉토리의 ".ftpaccess" 설정. ☞ 쉽게 설정할 수 있는 다중 가상 FTP 서버와 anonymous FTP 서비스. ☞ 시스템 부하에 따라 stand-alone 또는 inetd 중에서 골라서 운영되도록 만들어짐. ☞ anonymous FTP의 root 디렉토리에는 특별..
※ 리눅스에서 LVM 구성하는 방법 LVM 은 Logical Volume Manager 의 약자로서, 저장장치들을 좀더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는 커널의 부분과 프로그램을 말한다. 처음에는 IBM에서 개발되었는데, 그 후에 OSF(현재는 OpenGroup http://www.opengroup.org)에서 차용을 하여 OSF/1 operating system 에서 쓰였다. 지금은 HP-UX, Digital Unix operating system, AIX 등의 상용 유닉스에서 쓰고 있다. 리눅스 버전은 현재 HP-UX의 것을 모델로 하여 Sistina Software 사(http://www.sistina.com) 에서 open source로 개발하고 있다. LVM 을 이해하려면 먼저 Software..
라이브러리(library)는 다른 프로그램들과 링크되기 위하여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루틴(subroutine)이나 함수(function)들의 집합 파일 말하는데 함께 링크(link)될 수 있도록 보통 컴파일된 형태인 목적코드(object code) 형태로 존재한다. 라이브러리는 코드 재사용을 위해 조직화된 오래된 기법 중의 하나이며, 많은 다른 프로그램들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체계나 소프트웨어 개 발 환경 제공자들에 의해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라이브러리라는 기술이 생긴 이유는 코드의 재사용 및 부품화 실현, 소스를 제공하지 않음으로서 중요 기술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라이브러리는 사용하는 개발자들로서는 대형 어플리케이션 개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들이 주어지기 때문이다. 라이브러..
출처 : http://wiki.kldp.org/wiki.php/APM 필요한패키지들 ¶ zlib - http://www.gzip.org/zlib/ libpng - http://libpng.sourceforge.net/ free type - http://www.freetype.org/ libjpeg - http://www.ijg.org/ gd - http://www.boutell.com/gd/ libxml2 - http://xmlsoft.org/ [edit]설치순서 ¶ [edit]Step 0 : Install Packages ¶ [edit]Zlib 깔기 ¶ #wget http://www.gzip.org/zlib/zlib-1.2.1.tar.gz // zlib파일 다운로드 #tar -xzvf zlib-1.2...
출처 : http://blog.naver.com/mudo?Redirect=Log&logNo=17351386 IDC 센터 나와서 오랜만에 친구들 좀 만나고 집에 왔다. 리눅스 서버로 설치한 만큼 멋지게 APM을 설치해 보자. 하도 오랜만에 하는거라 PHPSCHOOL , kldp.org , database.sarang.net 등에서 각종 정보들을 수집했다. 일단 아래와 같은 패키지 및 타르볼을 설치할 것이다. http://mysql.com - mysql-standard-4.1.14-pc-linux-gnu-i686.tar.gz http://apache.org - httpd-2.0.54.tar.gz http://kr2.php.net/get/php-5.0.4.tar.gz/from/this/mirror - php-..
인쇄하기 닫기 지식iN 홈 > 지식Q&A > 컴퓨터, 통신 > 운영체제 > 리눅스 리눅스 파티션 평점 : + 1 (1 명) 8384bsm 조회 :34 답변 : 2 답변이 완료된 질문입니다. (2006-02-07 21:55 작성) 리눅스를 설치를 하려고 합니다... 60G에... /, swap, home 기타등등등.. 설명 부탁드리고요... 각각... 용량을 어떻게 주어야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질문자가 선택한 답변 지식스폰서답변 : re: 리눅스 파티션 리눅스원 - 신병웅 (2006-02-08 09:45 작성) 질문자 평 ^^ 파티션을 나누실때는 우선 어떤 서비스를 하느냐에 따라 파티션의 용량을 다르게 할당합니다. 우선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web서비스를 한다고 예를들자면 60G를 파티션 나눈..
download : http://www.brainz.co.kr
http://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
출처 : http://linux.co.kr/novice/follow/command/command4-1.html Network NCI에 IP주소를 설정하는 작업은 보통 X윈도우에서 합니다. 하지만 X윈도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네트워크을 설정하려면 명령어로 실행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렇게 하려면 X윈도우 상에서 설정했던 네트워크 상태가 저장되어 있는 곳으로 가서 편집하면 됩니다. 리눅스 설치 후 네트워크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대부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즉 랜카드의 문제로 인한 경우가 많습니다. 우선 자신의 랜카드가 리눅스에서 지원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리눅스에서는 /proc 이라는 디렉토리의 내용을 확인해야 합니다. 이 디렉토리는 커널이 사용하는 디렉토리로 시스템 정보, 하드웨어에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