幸福伝説
DAO와 DAO/96 은 무슨 차이? 본문
출처 : 시디알인포
일단 raw dao 16 과 raw dao 96 을 구분할수 있는데..
여기서..일단 그내용은..
[RAW-DAO 16]
2352 bytes RAW 자료 + 16 Bytes P-Q Subchannel 자료의 기록 을 합니다.
대부분의 Digital Signatures 와 ISRC, Catalog Numbers, Gaps, Indices와 Crazy TOCs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subchannel 정보의 기록을 합니다.
[RAW-DAO 96]
2352 bytes RAW 자료 + 96 Bytes P-W Subchannel 자료의 기록을 합니다.
모든 Digital Signatures, CD-Text, ISRC, Catalog Numbers, CD+G, CD+Midi, Gaps,
Indices와 Crazy TOCs를 포함하는 모든 subchannel 정보의 기록이 가능합니다.
SecuROM 락에 경우 락정보는 sub-Q 에 저장됩니다.
이 락은 RAW 16 으로는 이정보를 읽어 들일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작 기록시에느 sub-Q 정보에 일부러 만들어진 애러정보..즉 일종에 락 정보에
애러 보정을 가합니다. 그래서 제대로된 카피본을 얻기 어렵죠..
DAO/96 모드를 써서 기록을 하면 어떤 정보도 고치거나 정정하는 일은 없습니다.
그런데..
위 내용을 정확히 보면 두 모드에 차이는 알수 있는데..
네로에서 dao/96 모드가 등장하는데..
이건 원래 있던 모드가 아니라..
언제부턴가 추가되는데..
이건 클론시디,cdrwin 등 여러 프로그램에서 law mode 를 지원하다보니..
이점에서 이런 지원모드가 나온것이고..
그러다 보니..
dao/96 에 실제 내용은
raw dao/96 을 의미하게 됩니다.
그런데..이건 레코더에 따라서 달라서..
구형 모델중..여러 모델들은..
raw dao/16 을 겨우 지원하거나..
또는 아예..지원 하지 않기도 해서..
그내용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물론 요즘 레코더는 거의 RAW DAO/96 을 지원하기 때문에..
네로에서 이 모드 사용이 가능한데..
그럼 그냥 DAO 는??
이건 일종에 SAO 모드..즉 세션 단위 기록을 의미하고..
그 이유에서 볼수 있듯이..
DAO/96 은 세션 종료가 강제로 설정되지만..
DAO 는 세션종료는 사용자에 옵션이 됩니다.
즉 이경우..
레코딩 되는 데이터는
1블럭당 2352 bytes 단위에 데이터기록입니다.
즉 그외에 복합적인 서브채널 정보는 해당 안되죠.
그런데..
이점을 달리 해석하면..
하드에 있는 개인적인 데이터 백업과정에서
DAO/96을 언급할 필요가 없고..
그러니 네로 도움말에서는 일반 데이터 백업에..
DAO 를 언급합니다.
그런데..원본시디로 부터 카피시에는
그 시디에 혹..데이터 정보 이외에 각종 서브채널 정도등..
여러 정보가 중요시 될것을 고려해서
DAO/96 모드를 사용하라고 권합니다.
이건 CDRWIN 에서 RAW 모드 역시 이와 같은 내용인데..
즉 CDRWIN 은 일반 DAO 기반 레코딩 툴이다 보니..
이점에서.. RAW 모드 사용은 즉 원본과 같은 내용에 기록을
의미하지만 레코더가 지원해야 한다고 언급합니다.
이건 즉 RAW DAOI/96 을 의미하게 되죠..
즉 말그대로 원본과 같은..
즉 원본에 모든 정보를 변조하거나 정정하지 않고..
그대로 기록하는것을 DAO/96 즉 RAW DAO/96 이라면..
DAO/16 은 거의 모든 정보를 기록하지만..
완벽치는 않은것..
이렇게 생각할수 있는데..
중요한것은 레코더에 지원과..
그때 그때 작업내용에 따라서 선택을 잘 해야한다는것입니다.
문제는 오버버닝을할때는 레코더에 따라서는
DAO/96 이 더 유리하거나 또는
DAO 가 더 유리하거나..차이가 납니다.
레코더마다 다르고..
작업 내용에 따라서 잘못된 모드 선택은 곧바로..
실패로 이어집니다.쩝.
일단 raw dao 16 과 raw dao 96 을 구분할수 있는데..
여기서..일단 그내용은..
[RAW-DAO 16]
2352 bytes RAW 자료 + 16 Bytes P-Q Subchannel 자료의 기록 을 합니다.
대부분의 Digital Signatures 와 ISRC, Catalog Numbers, Gaps, Indices와 Crazy TOCs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subchannel 정보의 기록을 합니다.
[RAW-DAO 96]
2352 bytes RAW 자료 + 96 Bytes P-W Subchannel 자료의 기록을 합니다.
모든 Digital Signatures, CD-Text, ISRC, Catalog Numbers, CD+G, CD+Midi, Gaps,
Indices와 Crazy TOCs를 포함하는 모든 subchannel 정보의 기록이 가능합니다.
SecuROM 락에 경우 락정보는 sub-Q 에 저장됩니다.
이 락은 RAW 16 으로는 이정보를 읽어 들일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작 기록시에느 sub-Q 정보에 일부러 만들어진 애러정보..즉 일종에 락 정보에
애러 보정을 가합니다. 그래서 제대로된 카피본을 얻기 어렵죠..
DAO/96 모드를 써서 기록을 하면 어떤 정보도 고치거나 정정하는 일은 없습니다.
그런데..
위 내용을 정확히 보면 두 모드에 차이는 알수 있는데..
네로에서 dao/96 모드가 등장하는데..
이건 원래 있던 모드가 아니라..
언제부턴가 추가되는데..
이건 클론시디,cdrwin 등 여러 프로그램에서 law mode 를 지원하다보니..
이점에서 이런 지원모드가 나온것이고..
그러다 보니..
dao/96 에 실제 내용은
raw dao/96 을 의미하게 됩니다.
그런데..이건 레코더에 따라서 달라서..
구형 모델중..여러 모델들은..
raw dao/16 을 겨우 지원하거나..
또는 아예..지원 하지 않기도 해서..
그내용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물론 요즘 레코더는 거의 RAW DAO/96 을 지원하기 때문에..
네로에서 이 모드 사용이 가능한데..
그럼 그냥 DAO 는??
이건 일종에 SAO 모드..즉 세션 단위 기록을 의미하고..
그 이유에서 볼수 있듯이..
DAO/96 은 세션 종료가 강제로 설정되지만..
DAO 는 세션종료는 사용자에 옵션이 됩니다.
즉 이경우..
레코딩 되는 데이터는
1블럭당 2352 bytes 단위에 데이터기록입니다.
즉 그외에 복합적인 서브채널 정보는 해당 안되죠.
그런데..
이점을 달리 해석하면..
하드에 있는 개인적인 데이터 백업과정에서
DAO/96을 언급할 필요가 없고..
그러니 네로 도움말에서는 일반 데이터 백업에..
DAO 를 언급합니다.
그런데..원본시디로 부터 카피시에는
그 시디에 혹..데이터 정보 이외에 각종 서브채널 정도등..
여러 정보가 중요시 될것을 고려해서
DAO/96 모드를 사용하라고 권합니다.
이건 CDRWIN 에서 RAW 모드 역시 이와 같은 내용인데..
즉 CDRWIN 은 일반 DAO 기반 레코딩 툴이다 보니..
이점에서.. RAW 모드 사용은 즉 원본과 같은 내용에 기록을
의미하지만 레코더가 지원해야 한다고 언급합니다.
이건 즉 RAW DAOI/96 을 의미하게 되죠..
즉 말그대로 원본과 같은..
즉 원본에 모든 정보를 변조하거나 정정하지 않고..
그대로 기록하는것을 DAO/96 즉 RAW DAO/96 이라면..
DAO/16 은 거의 모든 정보를 기록하지만..
완벽치는 않은것..
이렇게 생각할수 있는데..
중요한것은 레코더에 지원과..
그때 그때 작업내용에 따라서 선택을 잘 해야한다는것입니다.
문제는 오버버닝을할때는 레코더에 따라서는
DAO/96 이 더 유리하거나 또는
DAO 가 더 유리하거나..차이가 납니다.
레코더마다 다르고..
작업 내용에 따라서 잘못된 모드 선택은 곧바로..
실패로 이어집니다.쩝.
'Computer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젝트를 위한 오픈소스들 (0) | 2014.11.05 |
---|---|
프로그래머가 되는 방법 (0) | 2008.06.22 |
Favorates (0) | 2008.06.22 |
[펌]프로그래머 가려내기 (0) | 2008.06.22 |
[펌]쓸데없는 윈도우 서비스 (0) | 2008.06.22 |